기준정보의 품질을 유지/관리하려면 원칙과 운영 정책이 필요하다. 우리는 일곱 가지 각 원칙을 지키는데 필요한 정책들을 수립하여 기준 정보를 관리한다.
유일성
기준정보가 충복 관리되지 않도록 하나의 정보는 하나의 코드로 관리한다.
동일 데이터의 식별기준을 명확히 한다. 기준정보 관련 프로세스 및 시스템의 개발/변경 시 기준정보관리부서와 협의한다. 데이터의 중복을 피해 정합성(상호 관련 있는 테이블 간 데이터 값이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로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한다.
일관성
기준정보는 동일한 의미로 일관되게 공유한다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복제하는 경우 기준정보관리 담당자의 승인을 받아 원본과 같은 의미로 활용한다(다른 화면에서 사용하는 경우, 동일하게 복제해야 하고 변형해서 사용하면 안된다.) 기준정보 생성, 변경 시에는 항상 최초 생성 의미가 변경되지 않도록 유지/관리한다.
표준준수
표준관리기준: 운영기준, 표준체계, 프로세스 을 준수한다.
표준관리기준을 수립해 명문화한다. 이해관계자들에게 교육/홍보를 통해 표준관리기준을 공유한다. 표준관리기준을 시스템화하고 가능한 자동화하여 준수되도록 하고, 미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표준관리기준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현재 적용기준에 맞게 보완한다.
단일등록
기준정보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한번만 등록, 배포한다.
기준정보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기준정보의 생성/변경/종료/복원에 관한 기분을 보유해야 한다. 기준정보 도메인 내의 동일 유형이 복수의 시시템에서 관리되지 않도록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해야 한다. 기준정보를 활용하는 부서들과 코드 생성 및 배포기준을 정의하고 정합성 및 완전성(항목별 필수 속성에는 데이터 값이 채워져 있어야 한다)을 관리해야 한다.
자산화
기준정보는 회사의 자산으로 시스템에서 관리한다
기준정보는 회사의 자산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교육및 홍보활동을 수행한다. 개인이 기준정보를 사유화해서는 안된다. 업무프로세스 및 시스템간 동일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핵심정보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기준정보를 관리대상으로 검토한다. 기준정보는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이해하기 쉽고 정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오너십
기준정보는 업무주관부서에 소유권이 있으며 관리책임자가 관리한다.
기준정보 운영 주체가 명시되어야 한다. 운영부서는 해당 기준정보 운영에 대한 책임을 가진다. 기준정보 관리자는 데이터 관리를 위해 필요한 조직을 구성하고 역할 및 책임을 규정하여 지속저으로 관리한다.
품질관리
기준정보 품질 관리는 측정 가능해야 하며, 사후 개선과 원인 제거 활동을 포함한다.
기준정보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정합성 및 일관성(기준정보는 동일한 의미로 일관되게 공유되어야 한다) 등의 품질 지표를 정의한다. 기준정보 품질 측정은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한다. 측정결과를 토대로 개선 목표를 수립하고 품질이 개선되면 개선 목표를 상향 조정해 나가는 활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화를 위한 요건 (0) | 2021.11.16 |
---|---|
행위기준정보 표준화 (0) | 2021.11.16 |
데이터 전환 (0) | 2021.11.16 |
아마드 애플 리프레쉬 ( AHMAD Apple Refresh) (0) | 2021.08.31 |
시장과 정부 (0) | 2021.05.19 |